분류 전체보기 (115) 썸네일형 리스트형 [Reverse Planning] 테이블링 1. 서비스 소개 테이블링의 창업자는 배동찬이다 다양한 브랜드 매장과 제휴 계약을 맺고 약 200만번의 대기가 테이블링을 통해 이루어졌다 테이블링 키오스크를 매장에 도입하여 손쉽게 웨이팅을 하도록 했다 카카오톡 채널을 운영하여 실시간으로 ‘내 순서 확인하기’를 통해 순서를 알아보도록 했다 매장에 구좌 패키지 상품을 도입하여 서비스를 도입한다 2. 서비스 분석 2.1 서비스 미션 & 비전 MZ 세대를 타켓으로 한 테이블링은 ‘누가 대신 맛집 줄 좀 대신 서줬으면 좋겠는데?’ 라는 문장에 대한 해답을 줄 수 있는 어플이다.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301120077 “먹고는 싶지만 기다리긴 싫어”…MZ가 주목한 ‘예약·줄서기’ 앱은 성장 중 “애플리케이션(.. [1Day 1Article Day+1] 네이버 포시마크 인수 결과 그리고 ChatGPT https://zdnet.co.kr/view/?no=20230508150808 네이버, 1분기 콘텐츠·커머스로 선방…포시마크 편입 효과 톡톡 네이버가 올해 1분기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성적을 거뒀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포시마크 편입 효과 ▲커머스·콘텐츠 등 사업 부문 성장에 힘입은 결과다. 네이버... zdnet.co.kr 1분기의 경제는 어두웠다. 미국의 스타트업 중심의 큰 은행 2개가 뱅크런이 연달아 터지고 코로나 시대 때 부흥했던 스타트업이 인원감축을 하거나 도산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한국의 경우 정육각이 채용을 대거 줄이고 오늘회라는 어플은 없어졌으며 왓챠는 사무실의 규모를 줄 일 만큼 인원감축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대기업의 1분기 실적발표는 먹구름이 드리울 것이라 생각이 되었다 하지만 위의..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 : PM 2기] Day 9 API 요청을 보내는 경우의 수와 서버의 기능을 매칭 시킨다 각 기능 별로 주소를 만든다(IP주소) / 임의의 문구를 넣을 수 있다 → 주소 뒤에 문구에 따라 기능이 다르다 , 요청을 받고, 요청을 보냄 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API) API → 서버개발자가 만듬 서버에 기능이 있든 없든 API가 없으면 클라이언트 개발자는 사용하지 못 한다 클라는 UI를 만듬 필요하면 서버로 요청을 보냄 서버에서 요청된 기능을 API로 보냄 클라는 받음 메세지 갔다 받는다 → 클라이언트 메세지를 보내주는게 서버 클라에서 서버로 보내는 데이터 → 파라미터(매개변수) API는 문서화 되어 있다 CRUD 프로그래머들의 문화 협업을 하기 위해 체계를 만드는 문화 → 체계를 만들고 체계를 토.. [Review] 오늘도 개발자가 안 된다고 말했다. 도대체 왜? "개발하기 싫어서 안된다고 말하는게 아니다" 본인은 작년 앱 개발을 본격적으로 배우면서 개인앱을 출시해보기도 하고 디자이너가 디자인 해준 디자인과 개발 양식에 따른 개발을 해 본 경험이 있다 개인앱을 출시 할 때는 피그마를 통해서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혼자 디자인을 해보기도 하고(SF Symbol을 많이 사용하고 Apple 내의 디자인을 사용하기 했지만) 기획도 하고 개발도 하면서 앱을 출시 했었다 이 과정에서 멘토분께서 내 기획을 반을 날린 경험이 있는데(https://callmedaniel.tistory.com/96 자세한건 FOOCA 출시 회고 참조) 이 때 느꼈던 감정이 책 내에서의 기획자가 느낀 감정이다 도대체 왜 안돼? 결론은 안될만 하니까 안된다. 물론 개인앱이라 시간도 많고 인력자원은 본인 ..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 : PM 2기] Day 8 엘리베이터 피치 프레임워크 전략을 2문장으로 표현하게 하는 도구 동작방식은 흰색으로 된 단어는 유지시키고 노란색 괄호로 쌓여진 부분을 전략의 핵심요소로 바꿔놓는다 제품 고객 하고싶은말로서 바꿈 전체 내용을 소리내어 읽고 그것이 맞는지 확인 시작을 하기 위해서는 고객 세분화 과정을 거쳐야한다 연령 성별 소득수준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범주로하는 대상으로 함 지리적 위치 타겟팅 정서적 세분화 → 사이코그래픽을 사용하기도한다 제품에 적합한 대상 고객 세분화를 식별할 때 해당 세그먼트의 전체 크기도 고려해야한다 얼마나 많은 소비자 고객을 대상을 할 수 있는지 이 시장에서 얻을 수 있는 마켓의 기회 잠재적인 수익이 얼마나 되는지 생각하여 결정해야한다 대상 고객은 전략을 정당하게 만드는 엘리베이터 피치 프레임워크의 첫..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 : PM 2기] Day 7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 할 수 있는 IT 지식 인간의 언어와 기계언어는 같지 않음 인간의 언어로 되어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프로그래머는 컴퓨터한테 일을 시키는 사람이다 문서 작업을 하는 사람인데 → IDE를 사용하여 문서작업을 한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0과 1로 바뀌는데 왜 언어가 여러개일까? → 사람들 마다 생각이 달라서 인기 있는 언어와 인기 없는 언어로 나뉘어서 인기 있는 언어만이 남게 된다 저수준은 컴퓨터한테 친절한 우리 입장에서는 불친절 고수준은 인간언어와 닮아있음(Python) 저수준 단점 쓰기 불편하고 어려움 장점 속도가 빠름 고수준 장점 배우기 쉽고 단점 속도가 느림 사용자들이 스파트폰과 데스크탑 APP을 통해 아무리 느린 언어여도 돌아간다 컴퓨터 창구 → SSD 컴퓨터 머리 → CPU CP..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 : PM 2기] Day 6 역기획을 조금씩 만져보고 있다 프로젝트 시작 전 예열 단계를 거쳐야하는지 혼자 달려야하는지 고민 중이다. PM은 Idea를 내는 사람이 아닌 좋은 아이디어와 나쁜 아이디어로 구별한 다음 무엇을 가져올지 결정하는 사람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기능, 방법 그것을 지정하는 에픽에 대해서 말함 해당목록 기능을 가져오는데 집중한다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 프로덕트 측면에서 PM에게 가장 적합한 위치는 어디일까? 모든 회사에는 개발해야하는 기능 아이디어 목록이 많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덕트에 의심을 가져야한다 구축해야하는 항목이 많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피드백의 양 경쟁제품이 하는일과 같은 것을 기반으로 새로운 아이디어가 들어오고 기존 아이디어 보다 우선되는 우선순위가 바뀌는 현상은 항상 있다 아이디어와 요청은 모..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 : PM 2기] Day 5 비전공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 강의 기획자들은 개발자들과 코드로 대화하지 않는다 다만 기획자가 개발자에게 어떤 서비스를 만들어달라고 할 경우 개발자의 입장에서 만들 수 없는걸 만들어달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발 지식이 필요하다 기획자가 모든 개발지식을 알아야할까? 깊은 개발지식이 필요할까? -> 아니다 다만 개발지식의 상위카테고리는 알아야한다 영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래밍 언어른 개발자가 문서작업을 통해 컴파일러/인터프리터로 넘긴다. 그 후 프로그램을 통해 기계어로 바꾸고 컴퓨터한테 정보를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개발자는 코드를 짜고 프로그래밍/개발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IDE(통합 개발 환경)/소스 코드 편집기/텍스트 에디터 -> 종류로는 XCode(iO.. [Reverse Planning] MUNTO 1. 서비스 소개 취향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모임 활동을 하는 서비스하는 플랫폼 즉, 모바일 소셜링 플랫폼이다. 문토의 창업자는 이미리 대표이다. Series A(2023)에 해당하는 회사이며 총 72억의 투자 유치를 받았다 서비스는 2019년에 오픈 했으며 O2O서비스와 중개 플랫폼의 성격을 띈다. 2. 서비스 분석 2.1 서비스 미션 & 비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접어든 현재 많은 사람들이 마스크를 벗고 활동하고 있으며 집-회사-집과 같은 반복되는 일상에 지쳐가는 요즘 다양한 사람과 만날 수 있는 모임이나 취미활동을 찾길 원한다. 이에 해당하는 사용자들을 위한 앱이 ‘문토’이다. 문토는 소셜링, 클럽, 첼린지, 라운지 기능을 통해 O2O 방식으로 앱에서 컨텍 한 후 오프라인에서 사용자들간의 연결을 목..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 : PM 2기] Day 4 리서치 분석 고객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고객 니즈 파악 시장 고객 트랜드 분석까지 한다 요구사항 정의 PRD 제품 요구사항 정의서 리스크 검토 진행 법적으로 문제 보안적으로 문제가 있는지 확인 기획 문서 작성 ppt로 옮김 IA 정보구조도 ,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WBS 프로젝트 전체 일정 작성 리스크 분석을 이 때 할 수 있다 유관부서 리뷰 마케팅이 필요한 팀이라면 마케팅 팀이 있다 UI/UX가 바뀔 수 있어서 디자인 팀 부터 한다 QA팀 리뷰도 한다 디자인/개발 시작 디자인 필요 없는 것 부터 개발 시작 → 서버 로직 구성 → 프론트 개발시 디자인 가이드 필요 취약점 점검 서비스가 보안적으로 안전한지 살펴봄 해킹, 정보탈취 가능성 확인 정보보호 정보보안팀에서 검토 QA 기획대로 만들어졌는.. 이전 1 2 3 4 5 6 7 8 ··· 12 다음